티스토리 뷰
목차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하여 정부지원금과 비과세혜택을 주는 정부지원 적금상품입니다. 하지만 실제로 일반적금상품에 비해 얼마만큼의 효과가 있는지 잘 모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일반적금상품에 비해 얼마큼의 효과가 있는지와 소득구간별 최대 효과를 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소득구간별 효과
청년도약계좌의 효과는 개인의 소득과 가입은행, 우대금리에 따라 상이합니다. 여기에서는 기본금리 4.5%, 월 70만 원 납부, 가입당시 기본 금리가 만기까지 유지된다고 가정할 경우 예상되는 수령액을 계산해 보았습니다.
총급여 기준 | 납입액 | 정부기여금 | 납입금액 이자 |
기여금 이자 | 총수령액 | 혜택금액 | 일반적금비교 | ||
2,400만원 | 4,200만원 | 144만원 | 640만원 | 16만원 | 5,000만원 | 800만원 | 8.86% | ||
3,600만원 | 138만원 | 587만원 | 15만원 | 4,938만원 | 738만원 | 8.19% | |||
4,800만원 | 132만원 | 14만원 | 4,931만원 | 731만원 | 8.12% | ||||
6,000만원 | 126만원 | 13만원 | 4,924만원 | 724만원 | 8.05% | ||||
7,500만원 | - | - | 4,787만원 | 587만원 | 6.50% |
총 소득 2,4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가장 많은 혜택을 받아갑니다. 총소득 7,500만 원 이하인 청년은 기여금은 없지만 비과세 혜택만 받아도 일반 시중은행에서 가입하는 적금보다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소득구간별 최대효과 방법
정부기여금은 소득에 따라 70만 원을 전부 납부하지 않아도 최대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득기준에 따라 최대 효과를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. 최소금액으로 최대효율을 볼 수 있는 방법은 아래 표와 같은 금액으로 가입하는 것입니다. 비과세 혜택이 없는 일반적금과 비교할 경우 최대 10.19% 적금상품에 가입하는 효과가 있습니다.
총급여기준 | 월납입액 | 총납입액 | 총 정부 기여금 |
납입금액 이자 | 기여금 이자 |
총 수령액 | 혜택금액 | 일반적금 비교 |
2,400만원 이하 | 40만원 | 2,400만원 | 144만원 | 366만원 | 15만원 | 2,925만원 | 525만원 | 10.19% |
3,600만원 이하 |
50만원 | 3,000만원 | 138만원 | 419만원 | 15만원 | 3,572만원 | 572만원 | 8.87% |
4,800만원 이하 |
60만원 | 3,600만원 | 132만원 | 503만원 | 14만원 | 4,249만원 | 649만원 | 8.39% |
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잘 따져보시고 최고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입하시길 바랍니다.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구체적으로 얼마의 금액을 받을 수 있을지 미리 알아보고 싶으신 분은 청년도약계좌계산기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.